[조선시대 역사] 7대 세조/ 8대 예종/ 9대 성종 - 핵심 정리
* 7대 세조(재위기간 : 1455~1468, 13년 3개월) / 이유(~53세) - 단종이 즉위하자, 정국의 구도가 수양대군파와 고명대신파(안평대군파)로 나뉨. (왕족의 힘 분산) - 고명대신들의 경계를 늦추고 거사 계획을 세우기 위해 단종 즉위를 인정하는 고명을 보낸다며 명나라 행을 하는 엉뚱한 행동을 하고, 명에서 돌아와 무력으로 조정대신들을 죽이고 정권 장악 : 계유정난(1453, 세조 39세) - 정인지, 권람, 한명회, 양정 등 자신을 포함한 43명을 정난공신에 책봉. - 사육신(성삼문, 하위지, 이개, 박팽년, 유성원, 유응부 / 왕을 위해 충절을 지킴) & 생육신(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 / 세조 밑에서 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 지킴) - 어릴때부터 영특, 명민,..
2022. 6. 27.
조선왕의 묘호 - 조(祖), 종(宗), 군(君)의 차이 / 조선왕 계보 순서, 이름, 재위기간 정리(.xlsx)
* 조선(朝鮮): 1392년 이성계가 고려 공양왕을 내쫓고 건국한 나라로 1910년까지 519년간 27명의 임금이 다스림: 조선이라는 국호는 민족주의 역사관과 사대주의적 가치관이 혼재된 이름임 * 묘호(廟號): 임금의 신호. 황제나 왕이 죽은 뒤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붙이는 존호.: 왕이 승하한 다음 그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호칭으로, 조선시대 왕을 칭하는 호칭 중 하나임 * 묘호가 '조(祖)'로 끝나는 경우는?1. 건국 시조이거나 (태조)2. 큰 업적을 남긴 왕을 기리는 풍습 (선조, 영조, 정조)3. 반란을 일으켜 이전 왕을 내쫓고 왕위를 차지한 경우 (세조, 인조)4. 비정상적인 왕위 계승(방계 출신의 왕)의 경우 : 27명의 왕중에 묘호가 종이 아닌 조로 끝나는 왕은 7명 / 태조, 세조, ..
2022.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