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조선 (1392~1919)11

연산군 외모, 얼굴 '연산군은 어떻게 생겼을까?' 폭군으로 알려져있는 조선 10대 국왕 연산군. 이름 이융.워낙 잔혹한 이야기들이 많이 전해지는 만큼 연산군에 대한 드라마와 영화가 많이 제작되기도 했는데, 연산군의 어진이 전해지지 않아 연산군의 이야기를 접하다보면 한 번쯤은 연산군의 외모에 대해 궁금해지기도 하는데요.  영화 '왕의 남자'에서 정진영님, 드라마 '역적'에서 김지석님, 영화 '간신'에서 김강우님, 드라마 '7일의 왕비'에서 이동건님이 연기했던 연산군의 외모는 실제 어떠했을까요? 전해 내려오는 연산군에 대한 기록과 이야기들을 모아보았습니다.  1. 연산군은 키가 크고, 호리호리한 아이돌 스타일이었다?! 어린이용 위인전이나 역사 만화에서는 사치스러운 폭군이었음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간혹 비만인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실제와 거리가 멀다... 2023. 2. 11.
[조선시대 역사] 25대 철종/ 26대 고종/ 27대 순종 - 핵심 정리 * 25대 철종(1849~1863, 14년 7개월) / 이원범, 이변(~32세)- 안동 김씨 세도정치가 절정을 이루던 때. 백성들의 생활이 도탄에 빠져 있던 시기. - 순조 비 순원왕후는 손자인 헌종이 후사 없이 죽자, 신정왕후 척족인 풍양 조씨 일파가 왕위 세울 것을 염려하여 재빨리 손을 씀. 항렬이 낮은 이가 왕통을 잇게 하는 왕가의 법도를 무시하고 헌종 7촌 아저씨뻘인 강화도령 원범이 가장 적당하다 판단하는 전횡을 저지름.  - 철종은 정조의 아우 은언군의 손자로, 민진용의 옥에 연루되어 강화도 유배, 농사꾼으로 살던 중 5여 년이 지난 어느 날 갑자기 왕통을 이으라는 교지가 내려짐. (19세) 1851년까지 순원왕후 수렴청정. 대왕대비의 근친 김문근의 딸을 왕비로 맞아 김문근이 국사를 도와 안동김.. 2022. 7. 10.
[조선시대 역사] 22대 정조/ 23대 순조/ 24대 헌종 - 핵심 정리 * 22대 정조(1752~1800, 24년 4개월) / 이산(~48세) - 당쟁 소용돌이 속에서 위협에 시달리며 왕위에 오르며 철저히 내면을 숨기며 살았고 정치적 발언을 하지 않음 / 25세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아버지(사도세자)에 대한 복수 감행, 파당 배격, 새로운 인물을 등용해 친위 세력 형성해 나감 - 문화정치 : 문예 부흥을 통해 새로운 정치 구현하려 함 (규장각과 실학자들) / 양반, 중인, 서얼, 평민층 모두가 문화에 대한 관심을 집약시킨 문예 부흥기(사대주의 사상이 사라지고 민족주의가 고개를 듬) - 홍국영 : 정조의 신임을 받아 실권 장악.(신하들의 눈을 홍국영에 집중시키고 정조는 앞으로 펼칠 문화 정치를 위해 치밀한 준비를 하며 홍국영을 고의로 방치했음) 정권 독점을 위해 왕비 효의왕후.. 2022. 7. 8.
[조선시대 역사] 19대 숙종/ 20대 경종/ 21대 영조 - 핵심 정리 * 19대 숙종(1674~1720, 45년 11개월) / 이순(~59세) - 조선왕조를 통틀어 당파 간 정쟁이 가장 심했던 기간. 비상한 정치 능력으로 왕권 회복, 사회 안정시킴.-> 조선 사회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왕 / 중전과 후궁들 애증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해 옥사를 유발하여 치세에 흠을 남김 (결과만을 놓고 보면 외척과 아내까지도 철저하게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한 것) - 명성왕후 김씨의 외동아들. 7세에 왕세자 책봉, 14세 즉위하여 바로 친정 시작 - 부왕의 의견에 따라 남인의 기년설 지지, 송시열 유배/ 남인이 정권 주도, 명성왕후 사촌동생 김석주 기용(남인 견제) - 경신환국(1680, 경신대출척, 홍수의 변): 김석주가 남인을 몰아내기 위해 짠 계략으로 남인 세력 축출 - 기사환국(168.. 2022. 7. 7.
[조선시대 역사] 16대 인조/ 17대 효종/ 18대 현종 - 핵심 정리 * 16대 인조(1623~1649, 26년 3개월) / 이종(~53세) - 1623년 3월 12일 인조반정 : 광해군에게 불만 품고 역모 도모하던 세력들이 무력정변 일으켜 광해군 폐위시킴 : 주도인물은 능양군과 서인 세력(광해군의 배다른 조카, 왕으로 추대되었다 죽은 능창군의 친형: 반정의 원인) : 더 본질적인 원인은 광해군과 인빈 김씨(인조의 할머니, 선조 4째 부인)의 관계였음 (선조가 인빈 김씨의 소생들을 총애하였지만 광해군을 세자로 지목, 인빈 김씨 소생들의 불만이 커짐) - 대북파 숙청 / 친명 사대주의 / 이괄의 난 / 청의 침입(청과 군신 관계, 삼전도의 치욕)->경제 파탄, 민간 굶주림 - 병자호란(1636) : 후금이 청으로 국호를 바꾸고 정묘약조의 형제관계를 군신관계로 맺자 함. 이를.. 2022. 7. 2.
[조선시대 역사] 14대 선조/ 15대 광해군 - 핵심 정리 * 14대 선조(1567~1608, 40년 8개월) / 이연(~56세) - 명종을 이은 적손이 없어 중종의 서손인 하성군(아버지: 덕흥대원군)이 16세에 왕위 이어받음(방계 승통 시대 시작) : 외척 중심의 척신 정치가 사라지고 붕당정치 시대 도래(사림 세력 중용) - 성리학적 왕도정치의 신봉자. 사림 명사들을 대거 등용(이황, 이이를 나라의 스승으로 극진히 대우) - 현량과 다시 실시. 조광조 등 신원함 -> 짧은 조정의 평화 -> 동인, 서인의 당파 싸움 (학맥, 사상적 차이) : 동인(주리철학, 조식과 이황의 제자들, 영남학파) vs. 서인(주기철학, 이이와 성혼 추종, 기호학파) : 이이가 중재하고자 했으나 실마리 못찾고 죽음. 1591년 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 실각, 동인 득세 : 동인 분파. .. 2022. 6. 29.
[조선시대 역사] 10대 연산군/ 11대 중종/ 12대 인종/ 13대 명종 - 핵심 정리 * 10대 연산군(1494~1506, 11년 10개월) / 이융(~30세) - 폐비윤씨의 시어머니인 인수대비(덕종 비)가 윤씨의 폐비를 강행(한명회 등 훈구 세력, 김종직 등 사림세력 가세) - 세자 융은 어머니가 정현왕후(중종 모)인 줄 알고 자람(성종이 폐비윤씨 사건을 일체 거론 못하게 함) - 인수대비, 정현왕후 모두 정현왕후의 아들인 진성대군(중종)에게는 대조적 태도. 융에게 혹독, 가슴에 응어리. - 진성대군이 태어나지 않은 1483년 성종이 융을 세자로 책봉 (왕자가 융 하나뿐), 19세에 왕 등극 - 독재 군주 군림, 광포한 성격, 희대의 폭군 -> 박원종의 반란으로 폐출됨 - 무오사화(1498): 연산군에게 학문을 강요하고 사사건건 간언을 하던 사림 세력(김종직) 축출/ 왕권 강화 - 갑자.. 2022. 6. 27.
[조선시대 역사] 7대 세조/ 8대 예종/ 9대 성종 - 핵심 정리 * 7대 세조(재위기간 : 1455~1468, 13년 3개월) / 이유(~53세) - 단종이 즉위하자, 정국의 구도가 수양대군파와 고명대신파(안평대군파)로 나뉨. (왕족의 힘 분산) - 고명대신들의 경계를 늦추고 거사 계획을 세우기 위해 단종 즉위를 인정하는 고명을 보낸다며 명나라 행을 하는 엉뚱한 행동을 하고, 명에서 돌아와 무력으로 조정대신들을 죽이고 정권 장악 : 계유정난(1453, 세조 39세) - 정인지, 권람, 한명회, 양정 등 자신을 포함한 43명을 정난공신에 책봉. - 사육신(성삼문, 하위지, 이개, 박팽년, 유성원, 유응부 / 왕을 위해 충절을 지킴) & 생육신(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 / 세조 밑에서 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 지킴) - 어릴때부터 영특, 명민,.. 2022. 6. 27.
[조선시대 역사] 4대 세종/ 5대 문종/ 6대 단종 - 핵심 정리 * 4대 세종(재위기간 : 1418~1450, 31년 7개월) / 이도(~53세) - 태종 재위기간 중 4번의 선위파동으로 민무구 형제의 권력 팽창을 견제하고, 외삼촌과 친밀한 양녕대군을 세자 폐출시킴. 국가안정을 이루기 위한 의도. - 충녕이 양녕 대신 왕세자에 책봉되고 두 달 후 즉위 / 태종이 이룩해놓은 왕권 안정을 바탕으로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기틀을 확립. - 1422년 태종이 죽은 다음부터 놀라운 정치력을 보임(개국공신 세력이 거의 사라진 시기) / 과거를 통해 정계에 진출한 유학자와 유학적 소양을 지닌 국왕이 만나 왕도정치를 실현. - 1436년(세종18년) 육조직계제를 의정부서사제로 변혁하고 유연한 정치 시행.(당뇨병 앓던 세종의 건강문제) - 집현전 기능 대폭 확대 : .. 2022.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