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순우리말로 날짜 세기 / 우리말 날짜 읽기 (월, 일 세기) 순 우리말로 날짜 읽기를 공유해봅니다.1월정월해오름 달 (새해 아침이 힘 있게 오르는 달)2월이월시샘 달 (꽃샘추위가 있는 겨울의 끝 달)3월삼월물오름 달 (뫼와 들에 물 오르는 달)4월사월잎새 달 (물오는 나무들이 잎 돋우는 달)5월오월푸른 달 (마음이 푸른 달)6월유월누리 달 (온 누리에 생명의 소리가 가득차는 달)7월칠월견우직녀 달 (견우 직녀가 만나는 달)8월팔월타오름 달 (하늘에선 해가 땅위에선 가슴이 타는 정열의 달)9월구월열매 달 (가지마다 열매를 맺는 달)10월시월하늘연 달 (밝달뫼에 아침의 나라가 열린 달)11월동짓달미틈 달, 마름 달 (가을에서 겨울로 치닫는 달)12월섣달매듭 달 (마음을 가다듬는 한 해의 끄트머리 달)  초순중순하순1일하루11일열하루21일스물하루2일이틀12일열이틀22일.. 2021. 5. 9.
#05. '나르시시스트' 부모 극복하기 @철없는 부모 자기중심적인 부모 밑에서 자라고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를 지속적으로 대해야 하는 사람들은 많은 문제를 겪습니다.심각한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중대한 타격을 주며 그 영향은 오래도록 지속되기 때문이죠. 앞서 포스팅에서 알아본 보호전략과 대처전략은 단기적인 임시방편으로 타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오늘 알아볼 내용은 가장 강력한 대처전략이라 볼 수 있습니다. # 바로 자아를 구축하고 강화하는 것입니다다시 말해, 부모의 충분한 보살핌을 받지 못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자아의 영역들을 발달시키며 스스로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장 강력한 대처 전략입니다. 자아를 구축하고 강화하면 부모에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므로 더 이상 고통을 겪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아를 강화하는 방법 1.. 2021. 5. 9.
#04.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비판,비난,조종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철없는 부모 지난 포스팅에서 나르시시스트 부모에 대응하는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에는 좀 더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대처 전략에 대해 알아볼게요. 우리가 아무리 대응전략을 세우고 연습하더라도 상처주는 부모의 말을 가볍게 듣고 넘길 수 있는 경지에는 영원히 이르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 자신과 부모를 더 깊이 이해하고 고통을 줄이는 것은 가능할 것입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닌* 우리의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 부모의 심리 상태를 항상 알 수 없다 우선 나르시시스트들은 두 가지 심리 상태로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을 알아두세요.자아가 과장되거나 상태이거나 빈약한 상태.본인이 전능하고 중요하고 우월하고 모든 것이 자신의 통제 아래에 있어야 한다는 마음,자신이 쓸모없고 열등하고 안전하지.. 2021. 5. 9.
#03. '나르시시스트' 부모 대응 전략 @철없는 부모 지난 포스팅들에서 나르시시스트 부모와 나에 대해 진단해보고 이해해보았습니다.이번엔 나르시시스트 부모에 대응하는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뀌어야 할 사람은 부모인데 왜 내가 바뀌어야하지?'라는 생각이 아직도 든다면, 꼭 명심하세요. 부모가 변할 수 있다는 것은 '환상'일 뿐입니다.이 생각이 틀린 건 아닙니다. 단지, 부모는 스스로 바뀌어야 할 이유를 못 느끼기 때문에 바뀔 가능성이 없습니다. 부모에게 당신들의 행동이 얼마나 심각한지 자각하도록 만들고 싶더라도 포기하세요. 당신의 부모는 자아존중감이 불안정한 사람이기 때문에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지 못하며, 오히려 문제는 당신에게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오랫동안의 갈등에도 관계에 효과가 없었던 이유가 바로 이 이유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모를 변.. 2021. 5. 9.
#02. '나르시시스트'부모를 둔 자녀의 성향은?_자가테스트 @철없는 부모 나의 현재 모습은 유전적 요인과 많은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졌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이 부모와의 관계입니다.  심각한 나르시시스트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은 감정이나 행동, 태도에 그 영향이 어른이 되어서도 끈질기게 남아있는데요, 부모가 아닌 나를 돌아봄으로써(지난 포스팅에서 보았듯, 부모는 변하지 않으니까요. 변해야하는 것은 나 입니다.) 부모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그리고 내 스스로가 일상 생활에서 어떤 비생산적인 행동에 에너지를 소비하는지, 그로인해 자존감, 자신감, 인간관계가 어떻게 손상되었는지를 알 수도 있을 거에요.  우리는 우리 스스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우리 자신을 돌아보기 위해 1. 먼저 내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확인해봅시다.2. 남들이 .. 2021. 5. 9.
#01. 우리 부모님은 '나르시시스트'일까?_자가테스트 @철없는 부모 당신도 혹시 이 같은 어려움이 있나요? º 부모(중 한 분)를 대하는게 두려운가?º 부모를 피할 구실을 찾는가?º 부모와 이야기할 때면 거의 매번 화가 나고 좌절감을 느끼는가?º 부모를 만나고 돌아올 때 거의 매번 화가 나고 속이 부글부글 끓는가?º 부모가 사라졌으면, 또는 다시는 대할 일이 없었으면 하고 바라는가?  부모를 대함에 마음의 고통과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괴로워 하는 마음과 동시에 본인이 부모에 대해 그런 마음을 가짐에 대해 자신이 불효를 하는 못된 사람이라는 죄책감을 함께 느낍니다.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갈팡질팡하는 괴로운 마음을 아마 성인이 되어서도 떠안은채 살고 있을 겁니다. 이 포스팅을 보고 계신 당신은 이미 이러한 괴로움으로 오랜시간 고통을 느껴왔고'나르시시스트' 부모에 대해서.. 2021. 5. 8.
어닝서프라이즈 ↔ 어닝쇼크 / 컨센서스 뜻 (컨센서스 확인하기) 2021년 2분기에 들어서면서 코스피는 코로나 이후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 장세로 넘어가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특히, 삼성전자가 4월 7일 실적발표를 앞두고 실적 호조로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대한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3개월간 이어진 조정 끝에 삼성전자가 상승기류로 전환이 되면 코스피에도 봄볕이 들것이라는 기대도 해봅니다. 최근들어 주식관련 기사를 보다보면 '어닝서프라이즈' '컨센서스를 상회/하회한다' 등의 표현이 자주 보이는데요, 오늘은 이 용어들의 뜻을 공부해보려합니다 :) ▶컨센서스 consensus 란?영어로는 '합의. 동의'라는 뜻으로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견에 대한 합의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그런데 주식 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용어이죠. 주식에서 뜻하는 컨센서스는 시장 전문가(각 증.. 2021. 4. 6.
ESG 뜻 (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 ESG 관련주 / ESG 등급 확인 방법 / ESG 등급마크 다운로드 요즘 신문과 뉴스에서 ESG 란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최근 코로나19로 플라스틱 폐기물이 늘어나면서 폐기물 처리와 오염정화와 같은 환경 사업을 이야기하며 더욱 많이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많은 기업들이 경영강화에 나서고 있다는 ESG의 뜻과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ESG 란? =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 환경, 사회, 지배구조 ESG는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지배구조 Governance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단어입니다. 기업 활동에 있어서 비재무적인 요소 중 - 친환경 (환경 오염을 줄이는 것), - 사회적 책임 경영 (사회에 가치를 환원하는 것 ex.기부, 봉사), - 지배구조 개선 방.. 2021. 3. 28.
성장주 / 가치주 차이점, 반대 개념일까? (쉬운이해) 요즘 경제뉴스나 기사에서 성장주로 가야하나, 가치주로 가야하나 하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으로 코스피가 조정장세를 이어오면서, 작년 코로나 이후부터 연초까지 주가가 크게 오르며 코스피 상승을 주도했던 대형 성장주들이 주춤한 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대형 성장주의 대표 종목으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이 있었는데요. 최근에 이런 종목들의 주가가 조정을 이어가는 반면, 그동안 코로나로 큰 타격을 받고 묻혀 있었던 종목들이 탄력을 받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제 성장주에서 가치주로 가야한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고, 최근에는 그동안 조정을 받았던 성장주들이 곧 다시 탄력을 받을것이니 성장주 투자를 권하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 2021. 3. 23.
반응형